티스토리 뷰

반응형


단백질보충제의 종류를 대략 알았다고 하더라도

막상 구매를 앞두게 되면 어떤 보충제를 먹어야 할지 막막하다.


단백질보충제의 구매를 조금이라도 고민해본 사람이라면, 

유청단백질, 혹은 웨이프로틴(Whey Protein)이란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게 무엇일까?


간단히, 단백질의 한 종류로, 보충제의 단백질 원료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근육 흡수 비율이 일반 고기나 계란, 식물성 단백질보다 월등히 높고, 근육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다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니, 어떤단백질을 사야할지 모르겠다 싶으면 Whey Protein을 사게되면 실패할 일은 없다.


조금 더 심화해보면, 여기에도 종류가 있다.

WPC(농축유청단백질), WPI(분리유청단백질), 가수분해유청단백질(WPH), 카제인프로틴

이게 그 종류인데, 사실 제조공법의 차이를 나타낸다.




각자 장단점이 있는데, 흡수량과 흡수속도, 유당의 포함 여부가 대표 차이다.


흡수량

카제인>WPC>WPI>WPH순이다.


흡수속도

WPH>WPI>WPC>카제인


이렇게 나열해볼 수 있는데, 순서가 완전히 반대다.

여기서 흡수속도가 빠른 WPH가 최고인지, 흡수량이 많은 카제인이 훌륭한지에 대한 고민이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는 느린 단백질이 근성장에 유용하다는 이야기가 있다.

단백질의 흡수속도를 아무리 인위적으로 늘렸다고 하더라도, 몸에서 흡수 가능한 양은 일부에 불과하다.

소화과정을 지나치게 빠르게 지나쳐 갈 경우, 흡수되지 않은 단백질은 배설되거나 지방으로 쌓일 뿐이다.

그러므로 WPH는 조금 거시기하다.


그래서 최근 WPH는 꽤 기피하는 종류의 단백질 원료가 됐으며, 대표 단백질보충제의 경우에는 천천히 소화가 이루어지는 단백질도 함께 포함한 복합단백질을 만들어 장시간 단백질을 공급받을 수 있게 개선이 되고 있다.


그리고 이전에 언급했던 유당의 포함여부에 있어서는, 유당 불포함 제품이 WPI밖에 없다.

유제품류를 먹게 되면 트러블이 생길 경우, 프로틴을 먹으면 평소에 없던 트러블 등이 생기는 사람의 경우에는 WPI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잘 읽어보고 본인의 체질에 가장 잘 맞는 보충제를 구매해보자. 


반응형
댓글